주가가 하락하게 되면 모든 주식 투자자들의 마음은 상당히 냉각됩니다. 주가가 내려가는 것도 문제지만 더욱 큰 상황은 자신이 산 가격대가 혹여나 고점 부근일 경우에는 다시는 그 가격대가 오지 않을 것 같다는 두려움 때문입니다. 대부분 주가가 내려갈 때 고민을 하는 분들은 이미 손실을 본 분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수익권에 있는 분들은 그래도 기다리면 언젠가는 돌아올 것 이라는 일말의 희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손실 중에 있는 사람들의 경우 더욱 강한 손실압박을 느끼게 됩니다. 지금 이런 심리적 상태는 주가 하락 시 거래량 감소의 의미를 분석할 때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서두에 이야기 한 내용들은 반드시 기억을 해 두시며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주가 하락 시 다양한 모습 중에서도 거래량 감소가 일어나게 되면 어떤 의미를 가질 지 궁금해 합니다. 물론 거래량 자체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분들도 계실지 모릅니다. 하지만 거래량을 그래도 중요하다고 여기는 분들은 하락시 거래량 증가 보다는 오히려 거래량 감소가 더 민감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해석에 따라 다른 부분은 있지만 개인적으로 거래량 증가는 오히려 거래량 감소 보다 더 나은 상황이라는 것을 이야기 드리고 싶습니다. 하락 시 거래량이 감소한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해당 가격대에서 매도세가 잠정적으로 줄어들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동전의 반쪽만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대부분 매도세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해서 덥석 매수에 뛰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거래량 증가가 더 나은 상황이라고 이야기를 드린 것 입니다.
장대음봉이 출현하는 날 거래량 마저 폭증을 했다면 아마도 주식 투자자들은 뭔가 큰 일이 일어났다고 생각해서 다들 겁먹고 매수를 자제합니다. 그러나 적절한 크기의 주식 음봉 캔들이 출현한 날 거래량이 슬금슬금 빠지게 되면 괜찮은 건지 아니면 아직도 매도가 더 있는지 헛갈리게 됩니다. 그래서 더 위험하고 더 어렵다고 이야기를 드린 것 입니다. 앞서 이야기를 한 부분을 더 이어서 이야기를 드리면 하락세가 유지되는 추세에서 거래량이 감소하는 것은 매도세가 줄어든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매수세가 유입된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단순히 조금 더 싸게 매수하려는 힘에 의해서 주가는 계속 내려가게 되는 상황이 오히려 더 지속될 수 있습니다. 주식 매수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하려고 합니다. 누구도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면서 기꺼이 하락세 있는 주식을 매수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수세가 유입은 되더라도 매우 적극적인 매수세력이 형성되는 것이 아닌 수동적이고 기계적인 자세로 매매에 임하는 매수주문만 잔뜩 있는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매도 매물이 조금이라도 과하다 싶으면 바로 호가를 낮춰서 낮은 호가로 주식매수 주문을 넣어 버리니 주가가 올라갈 기회는 전혀 없습니다. 예를들어 현재 사과 가격이 1000원이라고 한다면 1000원에 매도하겠다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면 갑자기 990원에 사과를 사겠다는 주문이 갑지가 980원에 사겠다고 가격을 정정해 버리는 것 입니다. 그럼 매도자 입장에서는 서로 팔려는 마음에 기다리지 못하는 주식 매도자는 980원으로 내려간 가격을 수용하고 해당 가격에 주식을 매도하게 되는 것 입니다. 그러면 현재 채결가가 980원인 상태라면 970으로 또 다시 960원으로 가격은 점점 내려가게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주가가 별다른 의미를 가지지 않고 내려가게 되면 거래량은 적게 유지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슬금슬금 내려가는 주가와 함께 거래량도 조금씩 빠지게 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는 것이죠.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찾아본다면 아마도 거래량 감소는 강한 매수세가 아직 유입되지 않았다는 점 입니다. 만약 주가 상승세를 이끌 매수세가 유입되었다면 횡보를 하더라도 거래량은 늘어나게 되어 있습니다. 만약 거래량이 늘지 않고 단지 가격만 상승하는 경우라면 또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이 부분은 다른 글을 통해서 설명을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 조금 더 힘을 실어서 이야기를 드리고 싶은 부분은 주가 하락 시 거래량 감소를 절대 매도세가 잠잠해졌다는 부분만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는 점 입니다. 그리고 주가 하락 시 거래량이 감소되었다고 상승 반전을 할 것이라는 생각은 착각에 가까울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 드리고 싶습니다.